Skip to content

이주민과 함께

Solidarity with Migrants

  • 후원 하기
  • 소개
    • 이주민과 함께 소개
    • 이주민과 인권
    • 연혁
  • 활동
    • 공지
    • 활동이야기
    • 자원활동신청
  • 소식지
    • 뉴스레터
    • 더불어 사는 삶
  • 아카이브
    • 자료실
    • 영상
이주민과 함께

이주민과함께 9월 뉴스레터

뉴스레터

{preheader}
Logo
23.09
뉴스레터
‌
‌
물결
‌

초대합니다!


%ed%9b%84%ec%9b%90%ec%9d%98-%eb%b0%a41
‌

<이주민과 함께>를 응원하는 특별한 한끼, 이주민씨의 하루식당에 초대합니다.

따뜻한 마음, 맛있는 음식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 일시 : 2023년 10월 26일(목) 오후 3시~10시 ▶ 장소 : 화목그레이스 뷔페(수영역 13번 출구)
  • 아시아음식과 주류, 음료를 즐길 수 있습니다.
  • 저녁 8시~9시 27주년 생일파티 합니다.

<<하루식당 체크인>>
‌

초대말


‌

이주민과 함께의 일당백 활동가들의 어깨를 동무해 주십시오

[크기변환]조병준이사 ‌
‌
조병준 이사장  제가 이주민과 함께(당시 외국인노동자 인권을 위한 모임)에 처음 발을 디뎠을때가 1998년입니다. 일요일 오후 진료를 가면, 사무실에는 책상마다 이주노동자와 활동가가 마주 앉아 상담을 하고, 작은 강당에서 행사라도 하는 날이면, 시끄러운 치과 기계 소리까지 뒤섞여, 신참 치과의사는 겨우 정신줄을 잡고 진료를 마친 후, 선후배들과 때론 이주노동자들과 활동가들과 튀김에 막걸리를 먹으러 가기도 한 기억이 납니다. 저도 그렇게 자원활동으로 후원회원으로, 그러다 운영위원으로 이사장으로, 또 여전히 진료소 자원활동가로 25년 넘어 함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후원의 날을 맞아 막중한 초대장을 쓰고 있으니 어깨가 더욱 무겁습니다.  27살을 지내온 이주민과 함께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부산외국인주민센터를 10년 이상, 그리고 부산시 인권센타를 2년째 수탁운영하며 위탁기관과 함께 이주민의 인권, 평등, 안전과 인권도시 부산을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판데믹기간에도 많은 자원활동가들이 전국에서 이주민진료소를 가장 먼저, 오래 열었고, 이주민에 대한 차별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해왔습니다. 전국적인 자랑인 이주민통번역센타 링크가 예산삭감에도 잘 버티고 있으며, 캄보디아사업은 후원장학사업을 너머 ‘신나는 도서관’을 열고,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름처럼 신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마주 앉으니, 어려운 이야기도 꺼내 봅니다.  활동가들은 최저임금에 겨우 다다른 임금으로 시간과 요일을 가리지 않고, 때론 강의료를 단체를 위해 기부하면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죄송스럽습니다만, 그럼에도 단체 적자가 생기고 있어 운영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저는 오랜 활동을 하며 우리 이주민과 함께가 대부분 후원금으로 유지되는 자랑스런 단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 이주민과 함께의 일당백 활동가들의 어깨를 동무해 주십시오.  이주민과 함께가 재정적 어려움을 떨치고, 우리 활동가들이 열정은 불태우되, 생활은 태우지 않을 수 있게, 든든한 인건비로 안정적이고, 더 힘차게 즐겁게 활동할 수 있게 이번 후원에 참여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주민씨의 하루식당”에 오셔서 마주 앉아 주시고, 혹시 바빠 못 오시는 분들도 어깨동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시 한번 그 시끌벅적하고 발 디딜 틈 없는 이주민과 함께에 함께 해 주십시오  초대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
‌

‌
‌

활동소식

[소식 1] 링크×부산대학교병원 ‘이주민통번역지원사업’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ec%8b%ac%ed%8f%ac%ec%a7%80%ec%97%841
‌

 이주민통번역센터 링크가 10월 12일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올해 <이주민과 함께>와 <부산대학교병원>이 손잡고 이주민 의사소통권 확보를 위해 시작한 <부산경남 이주민 통번역센터 지원사업>이 10주년을 맞았습니다.  2017년부터는 전문 의료통역을 지향하며 ‘부산·경남 공공의료통역 전문교육 및 지원사업’으로 전환하여 통·번역활동가를 양성하고, 의사소통 불편을 해소하는 한편 이주민의 건강권을 증진하기 위한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이 사업은 전국적으로 모범사례로 꼽히며, 부산에 살고있는 이주민들에게 자랑거리였으며, 의료의 질을 높이고 건강을 지키는데 공헌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1부 이주민통번역지원사업 10년을 돌아보다 ② 링크의 미래를 위한 제언을 주제로 부산대학교병원 E동 지하1층 세미나실에서 엽니다.

자세한내용보기
‌
‌

[소식 2] 이주민과 함께하는 9.23기후정의행진

%ea%b8%b0%ed%9b%84%ec%a0%95%ec%9d%98%ed%96%89%ec%a7%84
 지난해 ‘기후위기와 인권 컨퍼런스’ 후속 활동으로 올해는 기후정의와 농어업이주노동자의 인권을 주제로 활동했습니다. 이주민과 함께, 이주와 인권연구소, 양산외국인노동자의집, 한 살림부산, YWCA생협 등 이주단체와 먹거리운동 단체 활동가들과 2회의 세미나와 1회의 워크숍을 거쳐 기후정의를 위한 농어업이주노동자선언을 만들고 9월 23일 송상현 광장에서 9.23기후정의행진에 이주민들과 참여하여 선언문을 발표하고 행진도 함께하였습니다.
‌
물결
‌
후원감사
‌

8월 후원내역 보기
‌

%ec%b6%94%ec%84%9d%ec%9d%b8%ec%82%ac
‌
‌
‌
Share this on YoutubeShare this on Facebook
‌
이주민과 함께에 {email}로 가입 하셨기 때문에 이 이메일을 받으셨습니다. 만약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unsub}를 눌러주십시오.
{webversion} – {unsub} – {profile}
Logo
© {year} 이주민과 함께, All rights reserved.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대로256번길 7 SM빌딩 4~5층
‌
♥9 뉴스레터

글 탐색

이전 이전 글: 이주민과함께 8월 뉴스레터
다음 다음 글: 이주민과함께 10월 뉴스레터
사)이주민과 함께

이메일 somi3438@daum.net

전화 051-802-3438~9

팩스 051-803-9630

주소 (47301)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56번길 7 SM빌딩 4~5층


후원 하기

이주민과 함께 유튜브네이버 포스트이주민과 함께 RSS
  • 로그인
https://unanda.ac.id/ https://uia.ac.id/
  • https://vtour.smktelkom-lpg.sch.id/s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