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header}
| |
장애 이주민 지원사업 보고
|
|
| |
2024년 1월에 시작한 ‘장애이주민 생활지원 및 지지기반 만들기 사업’이 중반을 향해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22명의 장애를 가진 이주민들을 상담하고 지원했습니다. 성인 5명, 아동 17명으로 아동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장애유형별로 보면 발달장애가 7명으로 가장 많고 뇌병변장애, 지체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로 이어집니다. 아동의 경우 중복장애도 2명 있습니다.
|
| |
|
| |
미등록 이주민 영유아 의료비 지원사업 보고
|
|
| |
‘2024 미등록 이주민 영유아 의료비 지원사업’이 시작한 지 2달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본 사업으로 13명 신청하여 의료비 지원이 시급한 8명의 이주민 영유아가 선정되었습니다. 대부분 작년에 출생하여 지금까지 치료받고 있는 이주민 영유아이며, 신청은 의료기관 사회사업팀에서 들어오고 있습니다. 전국 사업이다 보니 영유아의 거주 지역도 다양하지만, 경상남도 소재 의료기관의 신청이 많은 편입니다. 선정된 모든 영유아들은 3차 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았거나, 치료받고 있는 아이들입니다. 건강상태가 매우 좋지 않거나 초미숙아로 출생하여 평균적으로 2달간 입원 치료받았던 영유아들입니다. 건강보험이 없는 데다가 입원 기간이 길어져 최소 3천만원에서 1억원이 넘는 고액의 병원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불안정한 일용직으로 생계를 겨우 유지하고 있는, 미등록 신분의 부모에게 병원비를 감당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선정된 영유아 보호자들은 큰 도움이 되었다고 늘 감사의 말씀을 전하지만 본 사업으로 최대 300만원까지만 지원하고 있어 아쉬움이 있습니다.
|
| |
|
| |
이주아동들의 위기 환경 극복을 위한 성장지원사업
|
|
| |
이주아동보육비 지원사업에 대한 부모 설명회가 두 차례에 걸쳐 있었습니다. 5월 12일에 영어통역 진행으로 총 15가정(30명)이 참석하셨고, 5월 19일에는 베트남어와 중국어 통역진행 총 7가정(11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이번 부모설명회를 통해 이주아동보육비 지원사업에 대해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일정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 |
|
|